서울 디딤돌소득 시범사업: 저소득 가구를 위한 새로운 소득보장제도 입니다. 아직 유효합니다. 3년 기준으로 진행한 사업으로 2025년 6월까지 진행됩니다.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1.사업 개요
서울시는 저소득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"디딤돌소득 시범사업"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이 사업은 기준소득 대비 부족한 가구소득의 일정 비율을 채워주는 방식으로,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소득보장제도입니다.
지원은 현금으로 지븍되고 3년간 매월 지급됩니다. 사업기간이 2025년 6월까지이고, 이 내용은 2026년까지 연구분석을 하게되는 정책 실험 내용입니다.
- 소관부서: 안심소득과
- 제공유형: 현금 지급
- 지원주기: 매월 (3년)
- 사업기간: 2022년 7월 ~ 2025년 6월 (3년) / 연구 분석: 2022년 ~ 2026년 (5년)
이 시범사업은 소득이 일정 금액에 미달하는 가구에 대해 미달액의 일정 비율을 현금으로 지원하는 ‘디딤돌소득’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진됩니다. 이를 통해 제도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정책 실험입니다.
2. 지원 대상 및 선정 절차
시범사업에 참여할 저소득 가구는 공개 모집되며, 과학적이고 공정한 절차를 통해 지원 집단 1,600가구와 비교 집단 3,200가구 이상이 선정됩니다. 지원 집단은 기준 중위소득 85% 기준액과 가구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디딤돌소득 급여로 지원받으며, 비교 집단과 함께 연구에 참여하게 됩니다.
3. 지원 대상 조건
지원자격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울시여야 합니다. 소득은 중위소득 85% 이하여야 하고, 재산은 3억 2천6백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
- 사업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울시인 가구
- 소득: 기준 중위소득 85% 이하
- 재산: 326백만원 이하
4.지원 금액
지원 금액은 중위소득 85% 기준액과 실제 가구소득 간 차액의 50%로 책정됩니다. 아래는 2024년 기준으로 각 가구 유형별 최대 지원액입니다.
구분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기준 중위소득 50% | 1,114,222 | 1,841,305 | 2,357,328 | 2,864,956 | 3,347,867 | 3,809,184 |
디딤돌소득 최대 지원액 | 947,090 | 1,565,110 | 2,003,730 | 2,435,220 | 2,845,690 | 3,237,810 |
5.신청 방법 및 서류
최초 신청 시 서류 제출은 필요하지 않으며, 1차 선정 시 소득·재산 조사 의뢰 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.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:
<필요서류>
- 국민기초생활보장 신청에 필요한 제출서류
- 디딤돌소득 급여 신청서
-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(차상위계층 확인사업 병행)
-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
6. 문의처
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신 경우, 안심소득과 안심소득정책팀(02-2133-8436)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'주변의 벌어지는 일들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드라이브 |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거나 스토리지가 거의 소진됨 (0) | 2025.02.17 |
---|---|
KTX | 열차 시간표-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등 상행 하행 시간표 (0) | 2025.02.09 |
자동차세 5% 할인 받는 법 - 알아보기 (0) | 2025.01.13 |
나훈아 라스트 콘서트 | 마지막 투어 공연 마무리 - 알아보기 (0) | 2025.01.12 |
2025년 달라진 정책 5 가지 알아보기 | 결혼, 군봉급, 소득공제 등 (0) | 2025.01.12 |